
대한의학회와 KAMC는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중단할 수밖에 없는 참담한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고 1일 밝혔다.
두 단체는 "처음 협의체에 참여할 때 협의의 노력도 하지 않고 방관하는 것은 전문가로서의 책임을 저버리는 일이라 판단했기에, 최선을 다해 정부의 합리적인 정책변화를 호소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더 이상의 협의는 의미가 없으며, 정부와 여당이 이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11월 11일 여야의정협의체는 제1차 회의에서 연말까지 결과를 도출하겠다고 했으나 야당 불참과 두 단체 불참으로 결국 좌초됐다.
두 단체는 미래 세대를 위한 의학 교육의 현장이 붕괴되었으며, 수련병원의 진료공백으로 인해 중증, 필수진료가 한계에 도달했고, 사상 초유의 의료시스템의 붕괴가 목전에 이르렀다는 절박함을 호소하였다며 "하지만 우리의 목소리는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했다"라고 토로했다.
두 단체는 "비록 더 이상 협의체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국민과 환자 곁을 지키면서 정부의 잘못된 정책추진을 막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며, 여야 역시 말뿐이 아닌 진정성 있는 행동으로 국민을 위한 해결책 마련에 나설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그동안 두 단체는 2025년 의과대학 정원과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안을 충분히 검토하여 구체적인 조정안을 제시했다. 또한, 2026년 증원 유예와 함께, 합리적인 추계기구를 신설하여 2027년 이후의 정원 논의를 진행하자는 제안도 협의체에 전달했다.
두 단체는 "입시 일정이 진행되고 있는 급박한 현실에서 유연한 정책 결정을 통해 의정사태 해결의 의지를 조금이라도 보여달라고 간절히 요청했으나, 정부는 어떠한 유연성도 보이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